요즘 해외결제 할일이 많죠..
ㅄ같은 내국인 봉 정책으로 해외직구로 저렴하게 구입할수 있는 경우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하고
플레이스토어(구글마켓)이나 스팀이나 아마존이나..
하지만 막상 비자 마크 달린 카드니까 해외결제가 되는줄 알고 해보려고 하면 안된다고 하고
고작 1달러 짜리 구입하는데 수수료가 건당 1달러 나가지 않나........
몇달전에도 똑같은 취지의 게시물을 작성한 적도 있지만 이론은 알지만 직접 써보지 않아서 자신있게 말하지 못했던 부분이 있었는데요
그냥 단순히 해외결제가 되더라~하는 식은 그다지 유용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비자나 마스터 BC 같은 브랜드 마크가 걸려있는 카드 이고 해외결제 옵션체크해도 해외결제가 제대로 되지 않는 카드도 허다하긴 합니다
게다가 상담사도 상담사일뿐 전문가도 아니라서 상담하고 있는 카드의 해외결제 유무를 제대로 알지 못 하는 경우도 더러 있더군요
최근 소득공제율이 신용카드는 고작 10%로 축소. 현금영수증은 30%로 유지라서 신용카드는 생각치 않고 체크카드로만 언급하겠습니다
일단 고액구매와 소액구매 구분을 미리 생각하세요
은행기관 | 신용카드 | 체크카드 |
국민 | 0.25% | 비자0.25%/마에스트로 0.5$ 건당5백원 |
농협 | 0.35% | 0.5$ 건당5백원 |
신한 | 0.18% | 0.2% |
우리 | 0.35% | 1% -> 건당 0.5$(11월 15일부터) |
하나 | 0.30% | 비자,마스터0.5%/마에스트로0.5$건당5백원 |
외환 | 0.20% | 0.2% |
우리은행이 정율 1% -> 작년 11월부터 정액 건당 0.5$로 정책변경
카드 해외결제 수수료에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신용카드.체크카드가 아니라)
먼저 기본적으로 브랜드(제휴사) 수수료 1%~1.4% 정도 있습니다. 이건 비자 마크 달고 있으면 어떤 카드라도 1%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거죠
두번째가 이 게시물에서 언급하고자 하는 핵심으로
국내 카드사 수수료입니다.. 크게 정율(금액당)과 정액(건당)이 있으며
위 2가지 표에서 알수 있다시피.. 소액결제는 정율이 유리하며 고액결제는 정액이 유리합니다
좀더 알기쉽게 예시하자면, (그냥 대충 1달러 1000원 퉁)
1달러(천원) 짜리 어플결제하면 - 정율수수료 0.002달러(2원)(1%가 1/100 이고 0.2%는 0.002를 곱해야) / 정액수수료 0.5달러(500원)
50달러(5만원) 짜리 제품 구입하면 - 정율 100원 / 정액 500원
250달러(25만원) - 정율 500원 / 정액 500원 <<<<<<< 분기점?
500달러(50만원) 짜리 - 정율 1000원 / 정액 500원
5000달러(500만원) 짜리 - 정율 만원 / 정액 500원
이뿐만 아니라 정율은 해당결제금액의 % 이고 정액은 <건당> 인것도 유의해야죠
이런식으로 결제될때는 해외결제 금액(달러나 유로 환산) + 해외브랜드 수수료(1~1.4%) + 국내카드사 수수료(정액or정율) 로 빠져 나가며
이와 별개로, <홀딩>이라는게 있습니다
1$가 딱 1000원이 아니고 하루에도 계속 유동하듯이 정해진 금액이 없으므로
결제후 바로 인출되는게 아니라, 총금액에서 2~3% 더 상승된 금액으로 묶이면서 인출이 불가능해지고 3-4일 뒤에 환율에 따라 인출되어 지는 것을 말합니다
대충 말해서.. 만원 정도 통장에 있는데 1달러 짜리 어플 구매하고 나면(정율수수로 0.2%기준) 만원 그대로 있는데 자세히 보면 인출가능 금액은 따로 8600원 정도로 표시될겁니다
3일 정도 지나고 나면 묶인거 인출되고 통장잔고가 8800원 쯤으로 표시되고요(환율에 따라 환급?되는 금액이 다름)
홀딩이 어색하고 불편할수 있지만 환율 때문이라서 환율차로 인한 손해를 보지 않으려는 카드사들의 꼼수죠..
이러한 홀딩이 없는 카드사도 있습니다만, 묶이는 현상은 없지만 그대신 적은%로 좀더 많은 금액이 지출됩니다 (농협이 그러함. 농협 글로벌 체크카드)
그외에 우체국 신한LOVE 체크카드도 홀딩이 없지만 건당 수수료(정액) 1달러(천원) 입니다(그러고 보니 농협도 정액 건당 0.5달러네요)
요약 - 스팀이나 구글어플 결제 같은 소액결제는 신한이나 외환 쓰면 됨 / 몇십만원짜리 이상 구매시에는 정액 수수료 카드(대부분의 카드들) 이 유리
참고로 비자가 제일 많이 쓰이고 그담이 마스터 겠쥬? 비씨나 마에스트로는 쓸데가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