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순정 이미지 다운로드 및 통합
저도 아직 많이 부족한 초보지만 이제 막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분이나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글을 써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 중이던 윈도우를 포맷하려고 인터넷을 뒤적이다보면 뭔가 윈도우라고 하긴하는 데 파일명이나 설명에 글마다 다 다르게 씌여있고 하니 처음 본 사람들은 그 글의 뜻을 잘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트윅 윈도우인지 순정 윈도우인지 업데이트 통합본인지 다이어트 한건지 정확히 구분이 안되는 분들에게는 그냥 마소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순정본으로 설치하는 걸 권해드립니다만... 마소에서 제공하는 순정본은 32비트면 32비트, 64비트면 64비트만 있기때문에 범용성이 좀 떨어지는 느낌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순정이미지를 이용한 32비트 + 64비트 통합법 또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준비물
- 웹 브라우저 :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파이어폭스 등 * 본문에서는 가장 흔하다고 생각되는 익스플로러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다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도 전혀 무방합니다.
- UltraISO 또는 .iso 수정 프로그램
* 유명하기도 하고 요즘은 또 구하기도 쉬우니 있으면 이런 작업할 때 정말 편합니다.
목차
1. 윈도우 순정 이미지 다운 받기
* 본문에서는 윈도우10 (1511 Updated Feb 2016)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7 및 8.1 또한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가능하니 기호에 맞게 하시면 됩니다.
2. 다운 받은 윈도우 하나로 통합하기(32비트 + 64비트 & 에디션별 통합)
* 윈도우 10 홈, 프로, 에듀케이션 이렇게 3개의 에디션을 32비트, 64비트로 나누어 총 6개의 6in1 이미지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1. 윈도우 순정 이미지 다운 받기
http://sendvid.com/7g88lrgb
얼마전에 유익한정보 게시판에 올라온 내용을 영상으로 짤막하게 만들어봤습니다. 익스플로러 기준이고 참고하시면 됩니다. 위 영상은 다운받기 까지의 풀 버전이고 잘 이해가 안가시면 천천히 내리면서 글을 읽으시면 됩니다.
http://sendvid.com/bl6y758a
1-1. 먼저 링크에 접속합니다.

페이지 하단에서 다운로드를 위해 선택해보면 최초엔 위에처럼 선택가능한 에디션이 몇개 나오지 않습니다.
http://sendvid.com/m54pzr0o
1-2. 웹 페이지상에서 본문에 txt 파일로 첨부된 스크립트를 적용합니다. 스크립트 내용을 전체 복사하여 웹 브라우저 콘솔창에 붙여넣고 엔터를 누르시면 됩니다. 다음은 각 웹 브라우저의 콘솔창 단축키 입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 F12
크롬 : Ctrl + Shift + J
파이어폭스 : Ctrl + Shift + K
본문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기준입니다.

스크립트 적용 후엔 이렇게 7부터 10까지 순정 이미지가 선택가능하도록 바뀝니다. 본문에서는 윈도우 10 (1511 Updated Feb 2016)으로 다운을 진행하겠습니다. 총 4개의 파일을 다운 받았고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dows 10 (1511_1) 32-bit, 64-bit
Windows 10 Education (1511_1) 32-bit, 64-bit

※ iso 파일이 순정인지 아닌지 확인하려면 링크에서 해쉬값을 비교 & 확인하면 됩니다.




제가 받은 파일들의 해쉬값 비교를 위에 MSDN 구독자 페이지에서 캡쳐한 사진입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다면 다음은 이미지 파일을 하나로 통합해보겠습니다. 다운받은 파일이 총4개나 되지만 실제로 통합을 하면 1개의 파일로도 이미지 파일 4개 속 에디션을 모두 가지고 다닐 수 있습니다.

2-1. 다운 받은 각 이미지 파일들을 압축프로그램 or iso 수정 프로그램으로 열어 sources 폴더 속 install.wim 파일을 모두 꺼내줍니다.

해쉬값 비교 및 install.wim 파일들만 꺼낸 모습입니다. 파일명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사진과 같이 파일명을 수정하였습니다.

2-2. imagex 명령어를 통해 통합을 진행하려고 하기 때문에 편리함을 위해서 4개의 wim파일을 C:루트로 이동시켰습니다.
http://sendvid.com/bja60bh3
2-3.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창을 열고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imagex /export c:\x32.wim 2 c:\install.wim /compress maximum "Windows 10 Home x32"
x32.wim 속에 2번 이미지를 install.wim 이라는 파일에 최대 압축률, 그리고 Windows 10 Home x32 라는 이름으로 추출한다는 의미입니다. x32wim 속엔 2개의 이미지가 포함되어있는데 (아까 말씀드린 해쉬값 확인하는 사진 보시면 2개 에디션이 들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ome 에디션과 Pro 에디션 입니다. 본문의 경우 Home, Pro, Education 순으로 에디션 정리를 진행하겠습니다.

6in1 install.wim을 만들것이기 때문에 6번 입력하면 됩니다. 본문 내용에서 사용한 명령어는 순서대로 다음과 같습니다.
imagex /export c:\x32.wim 2 c:\install.wim /compress maximum "Windows 10 Home x32"
imagex /export c:\x32.wim 1 c:\install.wim /compress maximum "Windows 10 Pro x32"
imagex /export c:\edux32.wim 1 c:\install.wim /compress maximum "Windows 10 Education x32"
imagex /export c:\x64.wim 2 c:\install.wim /compress maximum "Windows 10 Home x64"
imagex /export c:\x64.wim 1 c:\install.wim /compress maximum "Windows 10 Pro x64"
imagex /export c:\edux64.wim 1 c:\install.wim /compress maximum "Windows 10 Education x64"

완성된 install.wim 은 일단 잘 보관해둡니다.

http://sendvid.com/u3fsq6ua
2-4. 메모장을 열어 다음의 내용을 넣고 ei.cfg 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합니다.
[EditionID]
[Channel]
Volume
[VL]
1

위의 과정에서 만든 install.wim, ei.cfg와 32비트 윈도우 이미지 iso 파일을 준비합니다.
http://sendvid.com/k4ep8gqf

2-5. 32비트 윈도우 이미지 파일을 UltraISO (또는 iso 수정 프로그램)으로 열고 sources 폴더내에 존재하는 기존의 install.wim을 제거한 뒤 만들어 놓은 install.wim 과 ei.cfg 파일을 넣고 저장합니다.

완성!
* 영상을 flv 확장자로 만들어서 올리면 왠만하면 바로 올라갈 줄 알았는데... 이토엔 사진만 직접 업로드가 되는군요
* GImageX 이나 RSImageX 툴을 이용하면 더 쉽게 하긴 합니다만... 준비물 최소화할겸... 명령어도 배울겸(?)...
* 10 이외에 7 과 8.1 또한 통합이 가능하고, 서로간 통합 또한 가능합니다. 7 + 8.1 + 10 으로 하나의 단일 wim으로도 만들 수 있다는 얘기..
* 트윅도 좋은 게 많고 이것저것 궁금하기도해서 자주 써보긴 합니다만 최고의 트윅은 역시 순정이란 말이 괜한 것이 아닙니다.
* 본인이 직접 과정을 통해 이미지 만들어서 사용해보고 나중엔 Sysprep 봉인도 해보고 하면 자기만의 윈도우를 만들 수 있습니다.